티스토리 뷰
- 톈진 조약 1885년에 맺은 조약
톈진 조약天津條約은 갑신정변 실패의 결과로 1885년고종 22년 4월 18일음력 3월 4일 청나라 전권 대신 이홍장리훙장과 일본 제국 전권 대신 이토 히로부미가 동북아시아 세력 균형을 위해 맺은 조약이다.배경 · 내용 · 평가 및 영향 톈진 조약 1885년
1882년 청은 임오군란 진압을 명분으로 조선에 군대를 주둔시킨 후, 조선에 대한 내정 간섭을 강화하였다. 1884년 12월 4일, 급진개화파가 주도한 갑신정변이 발발 누락된 검색어 맺은 톈진 조약 1885년 우리역사넷
시기 1885년 4월 18일 *배경 일본 갑신정변1884년이후 조선에서 청나라에 비해청나라에 파병요청을 하자 일본은 텐진 조약을 이유로 일본군을 파병, 청일전쟁 1763 청일본 텐진 조약, 시모노세키 조약
일본과 청이 조선에 대해 동일한 파병권을 갖는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톈진 조약天津条约을 맺는다. 이후 1894년 전주에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고 전주성이 함락 중국국가박물관 中国国家博物馆 3 부흥의 길 근대사편
댓글